
안녕하세요.
오늘은 ESG 경영과 환경보호가 대두됨에 따라서 여러분들에게 ESG가 무엇인지 알려드리기 위해 찾아왔습니다!
ESG ?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친환경과 책임적 사회경영과 지배적 구조 개선
이것이 ESG입니다! 기업이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는 이윤 창출도 아주 중요하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선 바로
ESG 책임 경영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이죠.
그동안 우리는 제품의 장점, 브랜드의 신뢰성를 보고 제품을 사용했고 투자자들은 재무제표 등 계량화된 수치를 보면서 기업에 투자했습니다. 이제는 과거의 수치나 신뢰성보다는 기업이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을 가지고 있는 지 비재무적요소를 통해 기업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E. 환경 이야기
: 어떤 업체가 공장을 가동해서 제품을 생산했는데 어느 날 그 제품의 장점이 입소문을 타고 퍼져 기하급수적으로 매출량이 성장 했다고 가정해볼까요? 그래서 소비자와 투자자들은 회사의 제품과 브랜드를 소비함으로써 믿고 쓰고, 신뢰하고 투자하게 됩니다. 그런데 만약 이 업체가 그동안 공장을 가동하면서 발생된 환경오염물질을 모두 공장 인근 하천에 버리고 있었다면요? 이 기업을 믿을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결국 소비자와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에 대한 신뢰는 바닥을 칠 것이고 회사는 더 이상 정상적인 경영이 불가능할 것입니다. 탄소중립과 같은 친환경에 대한 기업의 생각은 매우 중요한 요소일 것입니다.

(*SOURCE FIXABAY)
S. 사회 이야기
: 사회는 주로 노동자의 인권과 사회구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유리천장' 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동일한 인적 자본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성에 따라서 승진 대우가 달라지는 사회현상을 말합니다. 지금은 이러한 사회현상이 사람들에게 많이 소개되고 있어서 불평등한 대우는 많이 사라지고 있지만 아직도 공평하지 못한 대우를 하고 있는 회사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노동자의 과로, 청렴하지 못한 임원의 이야기 등 사회적 이슈 역시 기업이 집중해야 할 과제입니다. 신뢰하고 있던 기업이 외부적으로는 아주 깔끔하고 좋은 인상을 주고 있지만 내부적인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면 더 이상 성장할 수 없을 것입니다. 반면, 어떤 회사는 전 직원의 생일 뿐만 아니라 부모의 생신까지 챙겨주는 회사가 있다고 합니다. 단기적으로 보면 지속적인 비용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근로자가 회사에 대한 진심어린 배려를 이해하고 애사심과 주인의식을 가지고 근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속가능하게 하는 힘, 원동력은 사회적 책임 경영입니다.
G. 지배구조 이야기
: 지배구조는 회사의 구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회사에 존재하는 이사회나 감사 등은 회사의 CEO의 의견이 집단의 의사결정에 반영이 되면 적절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감사는 회사가 계획했던 방향에서 조금씩 어긋나는 전조현상이 나타났을 때 이를 바로잡고 다시 올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입니다. 이 역시 회사의 방만경영을 보고도 눈을 감게 된다면 회사는 더 이상 지속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실례로 회사 자본금을 부적절한 루트를 통해서 회사의 자금이 아닌 것처럼 눈속임하고 본인의 재산이나 자녀들에게 지원했던 사례도 뉴스를 통해서 많이 소개되었죠. 기업을 지배하고 있는 소수가 기업을 신뢰하는 소비자나 그 기업과 연관된 다른 기업들에게까지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입니다. 청렴하고 부정부패에 관심을 쏟는 것. ESG 경영의 출발점입니다.

(*SOURCE FIXABAY)
'LIFE INFO > 돈버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숲 주차장 Acro아크로 디타워 주차장 가격 정보 ! (0) | 2022.02.27 |
---|---|
구내염에 좋은 비타민 B12 (0) | 2022.02.27 |
저작권없이 자유롭게 ! 비즈하우스 미리디자인 무료 사용법 !(유튜브 썸네일, 네이버스토어) (0) | 2022.02.26 |
은행에서 동전하는 교환 꿀TIP 5! (0) | 2022.02.24 |
비문증 치료에 도움이 되는 식품? 파인애플 ? 브로멜라인! (0) | 2022.02.24 |
댓글